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경제용어]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이드카

증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요소로 선물시장의 급등락에 따른 현물시장의 혼란을 막을 때에 발동 됩니다.

 

사이드카가 발동되면 주식시장의 매매호가 효력이 5분간 정지됩니다. 발동 조건은 가장 많이 거래되는 선물상품 가격이 전일 종가에 대비해 5% 이상 등락가가 1분 이상 계속될 때와 전일 종가 대비 6% 이상 등락가가 1분 이상 지속될때 입니다. 발동 5분 후에는 사이드카는 자동 해제 됩니다.

 

현물 시장의 안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인만큼 사이드카는 1일 1회에 한해서만 발동이 가능하며 주식시장 매매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할 수가 없습니다.

 

 


 

서킷 브레이커

 

 

주가 급락 시 추가 폭락을 막기 위해 주식 매매 자체를 중단시키는 장치로 사이드카보다 더욱 강력한 조치 입니다.

 

2015년 6월 주식 가격제한폭이 상하로 30% 확대되면서 서킷 브레이커가 3단계로 세분화 되었습니다.

 

1단계 전일에 비해 8% 이상일때 발동이 되며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됩니다.

 

2단계 전일에 비해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에 발동됩니다. 2단계 발동시 1단계와 마찬가지로 20분간 모든 거래가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됩니다.

 

3단계는 전일에 비해 20% 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발동되며 발동 시점을 기준으로 그 날의 주식거래가 종료가 됩니다.

 

 


* 단일가매매 : 주식 거래에 있어 주문 유입 시마다 거래를 체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동안 주문을 모아 일정 시점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